3.3 자동차세 얼마나 나올까? 2.0과 비교하면 큰 차이일까?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다면 해마다 나오는 자동차세는 피할 수 없는 고정지출 중 하나입니다.
특히 배기량이 높은 차량을 보유 중이라면 그 부담은 더 크게 느껴지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2016년 등록된 2017년식 3.3L 차량의 자동차세가 실제로 얼마나 나오는지,
그리고 2.0L 차량과의 세금 차이가 얼마나 되는지를 비교해 현실적인 부담 수준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 자동차세는 어떻게 계산될까?

자동차세는 크게 배기량 기준 세액지방교육세로 나뉘며,
자동차 연식에 따라 차령 감면이 적용되어 실제 납부 금액이 달라집니다.

기본 계산 공식

  • 자동차세 = 배기량(cc) × 세율(200원)
  • 지방교육세 = 자동차세 × 30%
  • 최종 납부액 = (자동차세 + 교육세) – 차령 감면

🔍 2016년 등록 3.3L 차량, 자동차세는 얼마?

배기량 3,300cc × 200원 = 660,000원(자동차세)
→ 지방교육세 30% 추가 = 660,000 × 0.3 = 198,000원
→ 총 납부액 = 858,000원

2025년 기준 차량 연식은 9년차로 감면율은 약 30%
→ 감면 후 납부액 = 858,000 × (1 – 0.3) = 600,600원/년
분기별 약 30만 원 정도가 됩니다.


⚖️ 2.0L 차량과 비교하면?

2.0L 차량의 경우 연 400,000원 수준 (감면 포함 시 약 320,000원)
→ 분기별 약 80,000원~90,000원 수준입니다.

배기량연간 세액(감면 후)분기별 납부액
2.0L약 320,000원약 80,000원
3.3L약 600,600원약 150,000원

즉, 연간 약 28만 원, 분기별 약 7만 원 정도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천문학적 차이까지는 아니지만, 세금 부담은 분명 차이가 있습니다.


📊 차량 연식에 따른 자동차세 감면표

차량 연식감면율
3년 미만0%
3~4년5%
4~5년10%
5~6년15%
6~7년20%
7~8년25%
8~9년30%
9~10년35%
10년 이상50%

차령이 오래될수록 자동차세 부담이 줄어드는 구조입니다.


🧾 자동차세 절세 팁

  1. 1월에 연납 신청하면 약 10% 할인
    → 위택스 또는 이택스에서 신청 가능
  2. 차령 오래된 차량은 감면 폭이 크므로 연식 고려
  3. 친환경 차량은 별도 감면 적용됨
  4. 연납 후 차량 판매 시, 남은 세금 환급 신청 가능

📎 유용한 링크 모음


❓ 자주 묻는 질문 (FAQ)

3.3 차량이면 2.0보다 두 배 가까이 세금 나오나요?

세율은 배기량 기준이지만, 실제 감면을 고려하면 1.5~1.8배 수준 차이입니다.

자동차세 연납은 꼭 1월에만 가능한가요?

연납은 1월 외에도 3, 6, 9월에도 신청 가능 하지만, 1월 신청 시 할인폭이 가장 큽니다.

중고차 구매 시 자동차세는 누가 내나요?

해당 연도에 차량을 보유한 기간만큼 일할 계산 되어 각각 부담합니다.

경차도 자동차세를 내나요?

네, 경차(1,000cc 이하)는 세금이 저렴 하지만 완전 면제는 아닙니다.

배기량 외에 차량 가격이 세금에 영향 주나요?

자동차세는 배기량 기준 으로만 부과되며, 차량 가격은 취득세 등에 영향을 줍니다.

LPG 차량은 세금이 다른가요?

일반 휘발유 차량과 세율은 동일하지만 , 일부 지자체는 감면 혜택 을 적용하기도 합니다.


댓글 작성 시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으며, 필수 입력 항목은 * 로 표시됩니다.

댓글 남기기